넷플릭스 수리남, 실화사건 기반 작품

0
586

넷플릭스 수리남, 실화사건 기반 작품

<사진> 수리남,
2011년 당시의 실화 사건을 기반으로 한 작품이다.

넷플릭스수리남은 남미의 수리남에서 한국인 마약상과 마약상으로 사업상 피해를 입은 사업가, 마약상을 잡으려는 국정원 요원간의 이야기이다. 이는 민간인 사업가의 능력이 빛을 발하는 실화 바탕의 이야기이다.

넷플릭스수리남이라는 작품이 화제작으로 나타나면서 실제 2011년 일어났던 사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언론에서도 2011년 국제 마약상 조봉행씨의 사건을 다시 한번 보도하고 있고, 실제 근황과 배우 하정우가 연기한 ‘한국인 K’에 대한 언급도 늘고 있다.

실제로 ‘한국인 K’씨는 마약상 조봉행씨를 잡기 위해서 1년간의 시간동안 고군분투했으며, 마약상 조봉행은 결국 2016년 국내 복역중 사망했다고 한다. 그는 국가정보원과 미국 마약단속국 등이 공조 작전을 펼쳐 지난 2009년 7월 브라질 상파울루 국제공항에서 체포가 됐다. 체포 2년만에 2011년 국내로 압송이 되었고, 사기와 마약 밀수 등의 혐의로 징역 10년과 벌금 1억원을 선고받았다. 징역 10년이라는 비교적인 가벼운 형을 받은 이유는 드라마와는 달라 코카인 48.5kg을 취급한 것만이 기소가 되었기때문이다. 또한 국내에 마약이 유통이 되지 않았다는 부분도 형을 낮추는 것에 기여를 했다.

실제로 머니투데이의 보도에 따르면 넷플릭스수리남 제작단계에서 수리남 정부는 외교 채널을 통해 항의의 뜻을 전해왔다고 한다. 기획의 당시 제목도 수리남이었기 때문에, 넷플릭스 코리아측에 제목을 수리남이 아닌 다른 것으로 바꿀 것을 요구했다고 한다. 때문에 외교부의 중재로 한국 이외의 모든 국가에서는 나르코-세인츠로 스트리밍된다고 한다. 이는 실제 마약을 밀매했던 상류틍의 치부가 드러나기 때문인데, 현 수리남 부통령 로니 브륀스베이크는 반군 활동을 하면서 조직 자금을 위해 대규모 마약거래를 한 혐의로 현재 해외에 나가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전 대통령 제시 보우테르서는 1999년 네덜란드에서 열린 궐석 재판에서 마약 밀매로 징역 11년의 유죄를 선고받았다. 하지만 교도소에 가지 않았고 수리남에서 정치인으로 활용하여 2010년부터 2020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했다고 한다.

이 작품에 대한 수리남 현지반응은 우려하는 바와는 반대이다. 수리남 현지인들도 드라마에 대한 내용이 어떤지는 대충 알고 있다고 하며, 웃고 넘어가는 경우가 더 많았다고 한다. 다만 수리남은 예전에 네덜란드 신민지로 있었기 때문에, 정글이 아름다운 나라라고 하면서 부정적인 인식이 박히는 것에 대한 염려는 있다고 한다.

넷플릭스수리남은 작품에서 마약환승국처럼 표현이 되고 있는데, 이것에 대해서 수리남정보는 더 이상 마약국가가 아니라고 주장했으나, 그다지 싱빙성이있게 받아들여지고 있지는 않다. 2022년 3월 1일 미국 국무부가 발간한 『2022 국제마약류통제전략보고서(International Narcotics Control Strategy Report, INCSR)』에 따른, 수리남 설명은 다음과 같다.

“수리남은 유럽으로 가는 남미산 코카인의 환승 국가이다. 수리남을 통해 밀수되는 대부분의 불법적 마약은 화물 컨테이너를 통해서 운반되지만, 상업 또는 개인 항공기나 사람들의 캐리어를 통해서 밀수되기도 한다. 수리남의 인구 저밀도의 해안 지역과 고립된 밀림의 환경은 취약한 국경 통제와 사회기반 시설 부족으로 인해 악화되고 있으며, 불법적 탐지 및 차단 노력도 어렵게 만든다. “ 즉, 수리남은 여전히 코카인의 환승 국가이면서, 여러가지 현실적 여건 때문에 마약 탐지나 차단까지 어려워 치안이 악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2022년 9월 9일 개봉된 넷플릭스수리남은 계속해서 인기를 얻어가며 흥행하고 있고, 미국에서는 7위를 차지하며 이례적인 기록까지 보이고 있다. 또한 비영어권에서도 5위라는 높은 순위를 보이고 있다. 최근 오징어게임의 넷플릭스 성공을 업고, 수리남도한 흥행세를 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계속될 넷플릭스수리남의 흥행에 대해서 귀추를 주목해본다.

넷플릭스 수리남, 실화사건 기반 작품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