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도로의 위험상황을 알려주는 똑똑한 인공지능 가로등을 만든다고 발표했다.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및 실증연구’ 사업은 연구개발(R&D)분야의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및 행정안전부의 부처간 협업과 기술간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한 다부처 연구개발(R&D)사업으로 3개 이상의 부처가 공동 추진한다.
이 가로등은 단순히 불빛을 비춰주는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고, 정체, 결빙, 교통량, 보행자 정보, 차량 역주행 등 도로환경의 정보를 제공하여 도로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각종 돌발상황들이 일어나는 확률을 낮춰 결과적으로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다. 이 사업에는 4개의 부처가 2023년까지 26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 똑똑한 가로등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한 인공지능 도로조명으로 도로상의 예상치 못한 돌발상황들을 스스록 식별, 감지하여 ‘디지털 사인’으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인프라와 사물 간 무선통신 기술(I2X)로 이동 경로에 위치한 차량이나 신호등 밎 보행자 스마트폰에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 플랫폼 개발을 통해 운전자나 보행자가 빠르게 판단하기 어려운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있고,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터널, 교차로 등에서의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예를 들면 어두운 밤 보행자가 예측할 수 없는 차량 돌진, 전방에서 실시간으로 일어난 교통사고로 인한 도로정체 등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인공지능 가로등을 통해 차량이 오는 것을 미리 예측하여 보행자에게 신호를 보내 보행자를 보호하거나, 전방에서 일어난 교통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인근 도로의 혼잡을 막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해당 사업은 각 부처가 업무를 분담하여 추진한다. 국토부는 도로조명 플랫폼에서 제공할 서비스 전략수립과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처리와 통신 플랫폼, 산업부는 멀티센서 융합 도로조명 시스템, 행안부는 도시재난안전관리 연계기술을 담당한다.
오는 4월 2일,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및 실증연구(R&D)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사업을 주관하는 국토부가 본 사업의 내용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과제와 계획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이 교통사고 저감을 위한 안전 시설물이 부족한 국도. 광역시도 등 도심 내 사고 다발지역에 맞춤형 안전 컨트롤 타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예전 같으면 사물이 어떻게 이런 일을 할 수 있을까? 라고 생각 할 수 있다는 걸 상상이나 했을까? 어느 샌가 사물이 생각을 하고 판단을 하는 주체가 되어 사람 곁에 같이 살고 있다. 이제는 인공지능이 사람보다 더 똑똑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일들도 해낼 것 같다. 어쩌면 얼마 가지 않아 인공지능이 주가 되고 사람이 보조적인 역할을 하게 될 지도 모른다.
하지만 인공지능을 우리를 위협하는 존재로만 여기기에는 아직 너무 섣부른 것 같다. 똑똑한 가로등이 그동안 우리가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들을 해결해주는 것처럼 인공지능을 삶의 가치를 높여주는 좋은 수단으로 생각하는 게 더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