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기후, 기후변화를 넘어서는 기후위기? 기후위기 원인, 사례, 나아가야 할 방향

0
1123

이상기후•기후변화를 넘어서는 기후위기 :: 기후위기 원인, 사례, 나아가야 할 방향

지난 18일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페터스베르크 기후회담에서 기후위기에 대응하지 못하면 집단 자살을 선택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만큼 현재 지구의 기후위기는 매우 심각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기후위기란 대체 뭘까?

<사진> 기후위기, 대규모 산불, 가뭄, 장기간 폭염과 같은 현상을 야기한다.

기후위기란?

우선 기후변화는 말 그대로 전지구적 기후의 변화를 의미한다. 기후위기는 기후변화를 강조한 것인데, 인간의 노력으로 해결하거나 감당할 수 없는 이상기후와 같은 상황이 속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후위기가 발생하는 원인은 뭘까?

과거 기후변화는 화산 폭발, 천재지변으로 인한 지각 이동, 대기 구성 물질의 변화 등 자연적인 원인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현재 기후위기의 경우 인간에 의한 인위적인 원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기후위기의 주요 원인으로는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가 꼽히고 있다.

그런데 이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주체가 바로 인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이 인간의 행동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후위기의 사례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첫 번째로 대규모 산불이다. 호주의 산불은 5천만 에이커가 불길에 휩싸일 정도로 큰 피해를 초래했다. 최소 34명이 사망했으며 거의 6천 채가 넘는 건물이 파괴되었다. 또한 캘리포니아에서는 지금까지 400만 에이커가 넘는 토지가 산불에 의해 피해를 받아왔다. 우리나라 역시 갈수록 산불이 많이 일어나고 있고 진화도 잘 되지 않고 있다. 대규모 산불이 발생하면 진화하는데 기본 5일은 걸리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이와 같은 산불의 원인이 기후 변화라는 것에 동의했다.

두 번째로 가뭄이다. 유럽연합(EU)의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의 절반이 심각한 가뭄을 겪고 있다고 한다. EU 영토의 46%가 가뭄 주의보 수준이며 11%가 경보 수준의 가뭄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한다. 또한 유럽의 곡창지대인 이탈리아 포강 유역의 가뭄이 가장 심각하다. 태국 역시 생계와 농업에 대해 걱정하게 될 정도로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 설탕 수확량이 예년에 비해 30%까지 떨어질 수도 있다고 예상할 정도. 올해 우리나라 역시 마른 장마로 인해 경남을 비롯한 남부 지방에서 극심한 가뭄이 지속되었다.

세 번째로 장기간 폭염이다. 현재 유럽 남부에서 일주일 사이 폭염은 1000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갔다. 고온으로 런던 근교 루턴 공항 활주로 일부 구간이 부풀어 오르면서 운항이 중단되기도 했다. 지난 18일 영국은 최고 기온 38.1도를 달성하여 역대 세 번째로 더운 날로 기록됐다고 한다. 또한 곧 영국 중남부 일부 지역 기온이 40도를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이처럼 인간이 유발한 기후위기는 고스란히 인간에게 피해로 돌아오고 있다.

기후 위기를 대비하여 나아가야 할 방향은?

우선 거시적 측면에서는 사회 시스템 전체의 수요 감소를 통한 기후위기 대응이 필요하다. 개인의 행동도 중요하다. 하지만 그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사회 시스템 자체가 수요를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미시적 측면으로는 개개인이 기후위기를 막기 위한 행동이 필요하다. 대표적으로는 플라스틱 쓰지 않기, 저탄소 냉방을 생활화하기가 있다. 에어컨 사용을 1시간 줄이면 연간 14.1kg의 이산화탄소 절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에어컨의 냉방 온도를 2도 높이면 5.3kg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일주일에 한 두 번 채식을 하는 것만으로도 나무를 심은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한다. 지속 가능한 지구를 위해 점차 비건 식습관을 곁들여보는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오늘은 이상기후 및 기후변화를 넘어서는 기후위기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기후위기가 발생하는 원인을 알고 사례를 파악하여 사회와 개인이 함께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속 가능한 지구를 위해 모두가 노력하는 것이 인류의 번영을 위한 것이 아닐까.

이상기후•기후변화를 넘어서는 기후위기 :: 기후위기 원인, 사례, 나아가야 할 방향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