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카페의 나라, 그 중 스타벅스는 왜 제일일까? – 스타벅스의 미래

    0
    95

    대한민국은 카페의 나라, 그 중 스타벅스는 왜 제일일까? – 스타벅스의 미래

    사진 – 왜 사람들은 스타벅스에 열광할까?

    최근, 길을 걷다가 소스라치게 놀란 경험이 있다. 한 오피스텔 상가였는데 1층에 카페가 무려 네군데나 입점한 것이다. 처음 오는 동네라 여기가 카페거리인가 의문점이 들었지만, 아니었다. 최근 대한민국 카페는 정말 각양각색이다. 필자도 하루에 평균 한 개씩의 커피를 마시는 것 같다. 일주일에 약 7개의 커피를 마신다는 것인데, 놀랍게도 그 중 스타벅스 커피를 3번 마셨다. 여러 자료를 보면 스타벅스는 대한민국 카페 분야에 선두 자리에 있다. 그렇다고 독점을 하는 것은 아니다. 나열하기 어려울 정도로 대한민국에는 정말 많은 카페가 있고, 카페 브랜드가 있다. 그렇다면 스타벅스는 어떻게 커피 한 잔으로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적인 기업이 되었을까? 위 책에서는 경영자의 통찰력 등을 예시로 보여주었으며, 다양한 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에 대해서 열거하였다.

    스타벅스 관련 책을 서평 하면서 느낀 점이다. 필자는 오늘 아침 스타벅스 앱으로 콜드브루를 주문하였고, 이를 스타벅스 텀블러에 받아와 마시면서 “스타벅스의 미래”라는 책을 서평하는중이다. 앞 문장에서 오늘 하고 싶은 이야기는 모두 담겨있다. 자, 그렇다면 필자는 이렇게 많은 스타벅스를 선택한 이유가 무엇일까? 스타벅스 殿) CEO 하워드 슐츠는 말하였다.

    “고객들은 스타벅스의 커피와 사람들,

    그리고 스타벅스에서만 느낄 수 있는 경험 때문에

    스타벅스를 선택한다.”

    스타벅스가 주는 매력은 여러가지다. 우선 굿즈 이야기부터 시작해보자. 필자의 집에는 스타벅스 텀블러 2개, 프리퀀시 상품 3개가 있다. 이는 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에서 비롯된다. 흔히 아이돌의 제품, 사인 CD, 앨범, 부채 등, 아이돌의 노래만 듣는 것이 아닌 그들의 굿즈로 제작된 제품들도 요즘 이야기하는 팬이라면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바로 이 점에서 스타벅스의 팬덤 문화 마케팅이 설계된 것이다. 대한민국은 이미 팬덤 문화에 익숙하다. 90년대 아이돌 문화를 1세대로 시작하여 기업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4세대에 이르렀다. 굿즈를 구매하는 이유는 소수의 한정판을 갖는다는 느낌이 들거나, 선호하는 상품을 더 접할 수 있고, 취미인 경우까지 다양하다. 스타벅스는 이 빈틈들을 노린 것이다.

    SNS와 인터넷망의 발전으로 대한민국 대다수는 스마트폰을 사용한다. 스타벅스는 전용 앱을 통해 주문, 이벤트, 적립 등 여러 가지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여기에 딜리버리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의 편의를 충족하였다. 그런데 2019년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였다. 코로나는 비대면이라는 키워드를 가져왔고 이는 여태 해왔던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 행하는 방식과는 정반대였다.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는 딜리버리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는 굳이 매점에 가지 않아도 스타벅스의 커피를 집 앞에서 받을 수 있었다. 이미 이뤄지고 있던 앱을 통해 시장에서 더욱 선두를 유지하며 경쟁사와 격차를 더욱 벌렸다. 스타벅스 자사 앱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경영자의 안목과 코로나라는 환경적 요소가 맞게 떨어진 것이다.

    다행히 코로나는 종식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잦아들었다. 그래서 요즘 SNS를 보면 스타벅스에 방문하는 주변 사람을 많이 볼 수 있다. 많은 카페에서는 진동벨을 사용한다. 하지만 스타벅스는 여전히 고객 번호, 이름, 아이디를 부르며 직접 건넨다. 일종의 고집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스타벅스만의 섬세한 매력이다. 또한 매장의 디자인, 인테리어, 음악은 스타벅스 플레이리스트가 떠도는 정도로 압도적이라는 표현을 할 수 있다.

    위 책에서는 다양하면서 섬세한 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 경영 전략 등을 나열하였다. 우리 삶과 이미 많이 가까워진 스타벅스는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갈까? 그것이 정답인지 아닌지, 또는 향후 카페를 시작하는 사람은 스타벅스의 방향과 일치해야 하는지 여러 의문점을 해소하려면 이 책을 읽어야만 한다. 지금까지 스타벅스의 미래에 대한 서평이었다.

    대한민국은 카페의 나라, 그 중 스타벅스는 왜 제일일까? – 스타벅스의 미래 끝.